왓치맨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왓치맨》은 2009년에 잭 스나이더 감독에 의해 영화화된 작품이다. 이 영화는 미국-소련 냉전 시대를 배경으로, 193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활동한 히어로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킨 법령으로 인해 대부분의 히어로가 은퇴하고, 일부만 정부의 통제를 받게 된 상황 속에서, 닥터 맨해튼의 화성 도피, 오지만디아스의 세계 평화를 위한 계획 등이 주요 사건으로 펼쳐진다. 영화는 원작의 어두운 분위기와 복잡한 스토리를 충실히 재현했으며, 재키 얼 헤일리, 패트릭 윌슨, 말린 오케르만, 빌리 크루덥, 매슈 구드, 제프리 딘 모건 등 다양한 배우들이 출연했다. 영화 제작 과정은 여러 번의 감독 및 각본 변경을 거쳐 2009년에 개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앨런 무어 - 데이브 기번스
데이브 기번스는 영국의 만화가로서 앨런 무어와 협업한 《와치맨》으로 유명하며, 1970년대 영국 만화계에서 활동하다 1980년대 초 DC 코믹스로 진출하여 다양한 작품에 참여하며 성공을 거두었다. - 앨런 무어 - 데이비드 로이드
데이비드 로이드는 1950년 런던에서 태어난 영국의 만화가로, 《브이 포 벤데타》를 앨런 무어와 함께 작업했으며, 2012년 온라인 만화 플랫폼 Aces Weekly를 설립했다. - 잭 스나이더 감독 영화 - 300 (영화)
2007년 개봉한 자크 스나이더 감독의 영화 《300》은 프랭크 밀러의 그래픽 노블을 원작으로,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300명의 스파르타 용사들이 페르시아 대군에 맞서는 이야기를 스타일리쉬한 액션과 시각 효과로 묘사하여 흥행에 성공했지만, 역사적 정확성 논란과 페르시아 묘사에 대한 반발을 일으켰다. - 잭 스나이더 감독 영화 -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
잭 스나이더가 감독하고 벤 애플렉, 헨리 카빌 등이 출연한 2016년 슈퍼히어로 영화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은 슈퍼맨의 존재에 대한 사회적 논쟁 속에서 배트맨과 슈퍼맨의 갈등, 렉스 루터의 음모, 그리고 원더우먼의 등장을 다룬다. - 대체 역사 영화 - 백 투 더 퓨처 2
《백 투 더 퓨처 2》는 1985년 영화의 속편으로, 마티 맥플라이와 닥 브라운 박사가 2015년 미래에서 벌어지는 위기를 막기 위해 시간 여행을 하지만, 시간 여행의 부작용으로 닥 브라운 박사가 1885년으로 사라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 대체 역사 영화 - 거짓말의 발명
영화 《거짓말의 발명》은 거짓말이 없는 세계에서 각본가 마크 벨리슨이 거짓말 능력을 얻어 성공과 사랑을 얻지만, 거짓말의 파장과 진실, 행복의 의미에 대한 고뇌를 겪는 이야기를 다룬다.
왓치맨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Watchmen |
감독 | 잭 스나이더 |
각본 | 데이비드 헤이터 알렉스 쩌 |
원작 | 데이브 기번스 앨런 무어 (크레딧 없음) |
제작 | 로런스 고든 로이드 레빈 데버러 스나이더 |
제작 총지휘 | 허브 게인스 토머스 툴 |
출연 | 말린 오커만 빌리 크루덥 매슈 구드 재키 얼 헤일리 제프리 딘 모건 패트릭 윌슨 |
음악 | 타일러 베이츠 |
촬영 | 래리 퐁 |
편집 | 윌리엄 호이 |
제작사 | 워너 브라더스 파라마운트 픽처스 레전더리 픽처스 DC 코믹스 로런스 고든 프로덕션 |
배급사 | 워너 브라더스 파라마운트 픽처스 |
개봉일 | 2009년 3월 6일 (미국) 2009년 3월 28일 (일본) 2009년 3월 5일 (대한민국) |
상영 시간 | 163분 (극장 공개판) 186분 (감독판) 215분 (얼티밋 컷판) |
언어 | 영어 |
제작 비용 | 1억 3천만 달러 |
흥행 수입 | 미국/캐나다: 1억 750만 9799 달러 전 세계: 1억 8525만 8983 달러 |
2. 역사적 배경
《왓치맨》의 세계는 실제 역사와 유사하지만, 슈퍼히어로의 존재와 그들의 활동이 역사적 사건에 영향을 미쳤다는 가상의 역사를 배경으로 한다.
1930년대, 미국 각지에서 가면과 코스튬으로 자신을 숨기고 범죄자와 싸우는 히어로들이 나타나 미닛맨이라는 조직을 결성하고, 제2차 세계 대전 등 정치와 전쟁에 관여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멤버들은 사망, 은퇴, 정신 질환 등으로 해체되었다.
1960년대, 새로운 히어로들이 "왓치맨"을 결성하지만, 미국 정부는 이들을 정치적 도구로 이용,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 베트남 전쟁, 워터게이트 사건 등에 개입시켰다. 닥터 맨해튼과 코미디언의 투입으로 미국은 베트남 전쟁에서 승리했고,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3선에 성공, 대통령 임기를 무기한으로 변경한다.
1980년대, 킨 법령으로 왓치맨은 비합법화된다. 정부 소속의 맨해튼, 코미디언, 그리고 은퇴를 거부하는 로어셰크만이 히어로 활동을 계속하는 가운데,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 간의 긴장은 냉전을 핵 공격 수준까지 고조시킨다.
2. 1. 미닛맨 (1930년대 ~ 1940년대)
Watchmen영어의 미닛맨은 1930년대 미국에서 활동했던 자경단 히어로 조직이다. 이들은 제2차 세계 대전 등 실제 역사적 사건에 개입하며 활약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멤버들의 사망, 은퇴, 정신 질환 등으로 해체되었다. 미닛맨의 활동은 당시 미국의 사회상과 히어로물의 황금기를 반영한다.2. 2. 왓치맨 (1960년대 ~ 1980년대)
1960년대, 새로운 세대의 히어로들이 "왓치맨"을 결성하지만, 미국 정부는 이들을 정치적 도구로 이용한다.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 베트남 전쟁, 워터게이트 사건 등 미국의 주요 역사적 사건에 왓치맨이 개입한다.[17] 닥터 맨해튼과 코미디언의 투입으로 미국은 베트남 전쟁에서 승리한다.[17] 이로 인해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3선을 달성하고, 심지어 대통령 임기를 무기한으로 변경한다.[17]1977년, 킨 법령으로 인해 대부분의 히어로들이 은퇴하고, 왓치맨은 실질적으로 해체된다. 1980년대, 대중의 반 자경단 정서(코미디언의 데모대 탄압이 원인으로 추정)를 계기로 닉슨은 복면 착용자의 자경 행위를 금지하는 킨 법령을 제정, 왓치맨은 비합법화된다.[17] 정부에 활동을 인가받은 맨해튼, 정부 첩보원이 된 코미디언, 은퇴를 거부하는 롤샤크만이 히어로 활동을 계속하는 가운데,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 간의 긴장은 냉전을 핵 공격 수준까지 고조시킨다.[17]
3. 등장인물
등장인물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조.
(※ 괄호 안은 일본어 더빙)
3. 1. 왓치맨 (2세대)
- '''월터 코백스 / 로어셰크''' (배우: 재키 얼 헤일리/일라이 스나이더(아역)): 뛰어난 추리력과 냉철한 판단력을 가진 히어로이다. 극우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으며, 범죄에 대해 타협하지 않는 강경한 태도를 보인다.
- '''대니얼 드라이버그 / 나이트 아울 2세''' (배우: 패트릭 윌슨): 뛰어난 지능과 기술력을 가진 히어로이다. 은퇴 후 평범한 삶을 살아가지만, 내면에는 영웅으로서의 갈망을 품고 있다.
- '''로리 주피터 / 실크 스펙터 2세''' (배우: 말린 오케르만/헤일리 가일(아역)): 뛰어난 격투 실력을 가진 히어로이다. 어머니인 1대 실크 스펙터의 뒤를 이어 히어로가 되었지만, 자신의 정체성과 과거에 대한 혼란을 겪는다.
- '''존 오스터먼 / 닥터 맨해튼''' (배우: 빌리 크루덥/재리드 하이드릭스(아역)): 실험 중 사고로 초능력을 얻게 된 히어로이다. 시간을 초월한 존재로, 인간적인 감정을 잃어가며 고뇌한다.
- '''에이드리언 바이트 / 오지만디아스''' (배우: 매슈 구드): 뛰어난 지능과 신체 능력을 가진 히어로이다. 세계 평화를 위해 극단적인 계획을 실행에 옮긴다.
- '''에드워드 블레이크 / 코미디언''' (배우: 제프리 딘 모건): 냉소적이고 폭력적인 성향의 히어로이다. 베트남 전쟁 참전 등 미국의 어두운 면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3. 2. 미닛맨 (1세대)
- 스티븐 맥해티(아역: 클린트 칼턴) - 홀리스 메이슨 / 나이트 아울(1대): 미닛맨의 창립 멤버로, 은퇴 후 자서전을 출간했다.
- 칼라 구지노 - 샐리 주피터 / 실크 스펙터(1대): 뛰어난 미모와 실력을 겸비한 히어로로, 은퇴 후 연예계 활동을 했다. 딸인 로리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댄 페인 - 윌리엄 브레이디 / 달러 빌: 은행 강도에 맞서 싸우다 사망한 히어로이다.
- 닐 매터 - 바이런 루이스 / 모스맨: 비행 능력을 가졌으나, 정신 질환으로 고통받았다.
- 아폴로니아 바노바 - 어설라 잰트 / 실루엣: 레즈비언 히어로로, 동성애 혐오 범죄로 살해당했다.
- 글렌 에니스 - 후디드 저스티스: 미닛맨의 초기 멤버였으나, 정체가 밝혀지지 않은 미스터리한 인물이다.
- 대릴 실러 - 넬슨 가드너 / 캡틴 메트로폴리스: 미닛맨의 리더였다.